홍천 땅은 지금 혼자 주인을 기다리며 쓸쓸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겠지.
이제 봄인데 그 자리가 외롭지 않게 뭐라도 해야 될 것 같은 의무감을 느낀다. 일단은 컨테이너라도 가져다 놓고 싶다. 지금은 허허벌판이다. 에베레스트 산을 오르자면 베이스 캠프가 필요 하듯이... 난 컨테이너를 나의 베이스 캠프로 하고 싶다. 그 전에 할 일은 포크레인으로 바닥을 고르는 작업을 해야. 포크레인을 어디서 어떻게 불러야 할지...컨테이너는 3*6m 미리 봐둔게 있다. 일단 4월안에 포크레인으로 바닥 고르기 작업을 하고 컨테이너를 가져다 놓아야 겠다.

다음으로 지하수 개발이다. 금액이 만만하지 않다. 알아본 봐로는 600만원정도이다. 집을 지을려면 당연히 물이 필요하다. 문제는 올해 집을 지을 수 있냐 하는 것이다. 집도 짓지 않으면서 지하수 개발만 먼저 했다간 관리 소홀로 비싸게 뚫어 놓은 지하수가 막히지나 않을까 걱정이 되기 때문이다. 지금 아내의 자금 보조 없이는 내게 집짓기란 무리가 있다. 대략 3천만원 정도만 아내가 주어도 결정을 내리겠는데... 나에겐 지금 그만한 여력이 안된다. 일단 성급한 마음을 접고 기다려보자. 대지 전환을 해두고 2년 안에 집을 짓지 않으면 또 다시 대지 전환을 해야한다. 비용도 비용이러니와 관을 오가면서 하는 일이라 까다롭기 까지 하다. 물론 건축사에게 맡기고 돈만 주면 다 해결 해주지만...
늦어도 내년에는 집을 지어야 한다. 이것이 나의 최고 지상 과제이다.

그러면 올해는 뭘해야 하나?
일단 베이스캠프로 컨테이너 들이고... 농업용 가설전기를 한전에 의뢰하여 끌어다 놓는 것. 그리고 매주 토/일 가서
텃밭이랑 정원을 꾸미는 일을 할까? 아니다 집도 없는데 무슨 정원이야~~ . 그럼 텃밭이라도 일구까?
아님 2~3평 짜리 원형 황토흙집을 내 손으로 직접 지어 볼까? 생각만 해도 신난다.  하지만 무엇이던지 마음의 여유가 일단 우선이다. 여유없이 하는 일은 즐거움이 아니라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전원을 즐길려고 한 일이 스트레스로 변모해서는 안되는 일 아니겠는가.

이번 주에는 드라이브 삼아 홍천에 다녀 와야 겠다.
아내가 따라 나서 줄까? 혹시 나혼자만의 드라이브가 되면 어떡하지? 딸이랑 아내랑 같이 갔으면 좋겠는데...
아내는 홍천 가는 걸 별로 좋아 하지 않는다. 이번 주 아내 눈치를 봐서 한번 물어봐야 겠다.
"홍천 화로구이 먹으러 가지 않을래? " 라고... 나의 밑밥을 덜컥 물어주길 바라면서...

=== by leepro ==

Posted by 좋은이프로
,

대한민국에서 중년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광대들의 외줄타기 보다 더 위태한 모습이다. 한발짝 한발짝 옮기는것이
왜 그리도 위태하고 힘들어 보이는 걸까?

우리에게 희망은 있는가?
헤드헌터 일을 하면서 과연 대한민국에서 중년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힘든 것인지 알게 되었다.
나또한 40을 넘어 이제는 중년이라 칭해도 별 무리는 없다. 내 주변의 중년들은 항상 힘들어 한다. 그렇다고 내가
힘들지 않다는 건 아니다. 나 또한 그들과 다름없이 힘에 부치는 경험을 많이 한다. 그러면 우리에겐 과연 힘듦만
있고 희망과 꿈은 없는 것일까?

결론 부터 말하자면 그건 아니다. 희망과 꿈이 당연히 있어야 하고 그 것을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문제는 타성에 젖어서 변화를 시도 못하는데 있다. 문제는 자기 자신에게 있음에도 그것을 깨닳지 못하고 자꾸 외부 환경에서 답을 찾을려는데 있다. 홀로서기에 익숙지 못하며, 냉철한 판단과 그에 따른 실천력 부족에 희망과 꿈은 사그라지고 있는 것이다.

40,50 이 인생의 이모작이라면 60에는 삼모작을 준비해야 한다.
이제 인생 이모작도 옜말이다. 어쩌면 삼모작도 모자라 사모작이라도 해야 할 날이 올 것이다. 그런데 준비가 안되고 변화 성공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사람은 항상 이 시점을 힘들어 한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 잘 모를 뿐더러
안다고 해도 머리로만 아는 거지 온몸으로 익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행하지 못하는 앎은 우리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제 자신만의 국어사전을 만들자. 40이 넘어서는 자신만의 국어사전을 만드는게 필요하다. 흔히 말하는 행복, 성공
사랑, 인내, 노력, 성실, 철학, 정치, 문화, 예술, 등등 오만가지 추상명사에 대한 정의를 나 혼자 차곡 차곡 하나씩 정립해 나가자. 일반인의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자기 자신만의 정의와 의미를 저장하자. 어려서부터 30까지는 흡수하는 시기이다. 그래서 교육과 독서를 통해 많이 받아 들이고 흡수 해야 한다. 40 부터는 여전히 공부하고 독서해야겠지만 하나 하나씩 자기 것으로 만들어가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자기 것이 없을때 우리는 혼돈스러워하고 흔들리는 경험을 하게 된다. 40 부터는 자기 색깔을 내어야 한다.

인생을 이모작, 삼모작 할려면 평생학습이 필요하다.
평생학습이 별거 아니다. 계속적으로 배워 나감을 의미 한다. 만남을 통해, 책을 통해, 일을 통해 우리는 계속 배워야 한다. 계속 배운다는 것은 계속 발전해 감을 뜻하고. 계속 발전해 감은 사회에 적응해 감을 뜻한다.
사회는 나날이 변화고 발전해가는데 우리는 과거의 경험과 지식에 머물려 있다. 그러니 위기의 40,50이 될 수 밖에 없다.

40,50의 자화상!
회사에서는 언제 자리를 빼라고 할 지 몰라 전전긍긍하고, 부하직원들은 호시탐탐 자기 자리는 노리는 것 같고, 집에서는 애들이 커서 돈들어 갈데가 많고, 또 애들은 나이가 들었다고 아빠의 이야기를 들으러 하지 않고, 가끔은 친구나 동료들이 고혈압이니 뭐니해서 세상을 떴다는 소리도 들려오고, 매일 보는 신문에는 세상살이 어려워만 진다는 기사만 나오고, 자꾸만 살아가는데 자신감은 사라지고, 아내와의 대화도 줄어들고 눈치만 보게 되고, 어디 마음 터놓고 자신의 고민과 이야기를 할 상대는 없어져만 가고....
한마디로 외로운 존재 이다. 사람의 모습으로 태어나서 누군들 외롭지 않고 고독하지 않으랴마는 40대는 유독 그
강도가 더 하다.

이래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태풍 몰아 치듯이 엄습한다. 하지만 뽀죡한 방법이 없다. 뭔가가 잘못 되어가고 있다는 생각만 있을 뿐 어떻게 살아갈까? 라는 답답함에 답을 못찾고 있는 실정이다.

답은 자신안에 있다.
대한민국 40,50 모두가 다 불행한 것은 아니다. 움츠린 마음을 펴라! 짧은 고민과 번뇌는 필요하다! 하지만 길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행동하라! 머리로만 생각하지 말고 몸으로 생각하라! 항상 배워라! (머리로만 말고... 온 몸으로..)
핑계거리를 찾지마라! 삶의 변수를 한개 씩 한개 씩 제거 해 나가라! 작은 성공 경험을 쌓아 나가라. 두려워서 떨기 보다는 실패를 각오하고 도전하라.
결국 답은 내 안에 있다. 멀리 있지 않다. 무엇이던지 시작하라. 시작은 씨앗이다. 그 씨앗을 많이 뿌리고 잘 가꾸어라!  하루 하루 1%씩 발전해 나가는 전략을 세워라. 인생은 전진이지 퇴보가 아니다.

마음 먹기에 따라 40,50은 인생의 황금기가 될 수 있다.
마음 먹기에 따라 40,50은 끔찍한 시기가 될 수 있다.
그것은 여러분의 선택의 문제이다.
그 선택의 대한 책임도 여러분의 몫이다.

모두 웃는 그날까지 화이팅!!!!                        -- by LeePro --

Posted by 좋은이프로
,
수심결 강의

이 책의 핵심 : 돈오 와 점수
     돈오 : 단박에 깨닫는다  /  점수 : 점진적으로 닦아간다
즉, 단박에 깨달아 점진적으로 닦아가라는 말이다.
이책을 보지 않으신 분은 무슨말인가 하겠지만, 책을 펼쳐 보시면 군더덕지 없는 쉬운 해설과 명쾌한 논리로 설명이 되어 있어 금방 이해 하시리라 봅니다.

불교 공부에도 도움이 되구요. 무엇보다 마음관리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최근에 읽어본 책중에 오래 소장하고 싶은 책중에 하나 입니다.
원저자는 고승이신 보조국사 지눌 스님입니다.
이책은 해설서 입니다.

이 책의 특징

첫 번째, 우선 일반인을 대상으로 했던 강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라서 쉽게 읽힌다. 사실 수심결 원문은 적은 분량이지만 이 책에서는 불교 전반에 대한 저자의 해박하고 심도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수심결에서 전하고자 하는 불교의 핵심 메시지와 선 수행의 방법에 대하여 정확하고 상세한 해석, 그리고 친절한 예시와 도해 등과 더불어 일반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고 명료하게 서술되어 있다. 불교에 대해 잘 모르거나 체계가 잡히지 않은 독자들도 이 수심결강의 한권만 보더라도 불교의 기본 원리와 철학들을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저자 스스로의 불교수행의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초심자도 부담 없이 수행의 맛을 볼 수 있도록 일념집중과 견성, 지혜계발의 단계 등을 쉽게 서술함으로써 굳이 어려운 선문답같은 것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게 하였다. 이로써 독자들은 불교수련을 실제로 연습해 볼 수 있고 나아가 그 맛을 쉽게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돈오점수론의 타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불교 선사들의 어록으로만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유교나, 도교, 그리고 기독교 등 타종교의 예를 충분히 들어, 돈오점수론이 세계종교적으로 보편타당성이 있음을 이야기 한다. 동서고금 모든 수행법의 핵심은 참나를 깨닫는 것인데 그 자리를 각 종교⋅문화권마다 불성⋅도심(道心)⋅성령(聖靈)⋅본심(本心) 등으로 다양하게 부를 뿐이다. 모두 ‘에고를 넘어선 상태’를 일컫는 말들이다.

마지막으로 책 말미에 부록으로 십우도(十牛圖)를 실었다. ‘소를 기르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목우자(牧牛子)란 호를 쓰신 지눌스님의 돈오점수사상이 잘 나타나 있는데, 소(참마음)를 찾는 이가 바로 ‘참마음’임을 보여준다. 역자가 삽화를 기존 중국풍이 아닌 한국적인 모습으로 직접 그리고 해설을 달았다는 점이 참신하다.
Posted by 좋은이프로
,